반응형

강박증상 2

소아 강박증 2번째 치료

[강박증의 증상의 예후는 사람마다 매우 다양해서 전문가의 도움이 꼭 필요함을 먼저 알려드립니다.] 지난 번 소아 강박증 증상에 대해 알아봤는데요.. 강박증 치료는 크게 두가지 입니다. 약물치료와 인지행동 치료. 그런데 아이들이 강박증 증상이 있다고 해서 쉽게 사라질 수 도 있는 부분이고, 부모님들이 쉽게 알아차리지 못하고 시기를 넘기는 경우가 있는데요. 여기서는 인지행동 치료에 대해 알아볼께요. 물론, 아이의 강박증상을 발견하고 바로 병원이나 상담센터로 가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그러나 아이들의 경우 병원이나 상담, 특히 상담은 자기를 들어내놓고 이야기를 해야해서 거부감이 있을 수 도 있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설득이 필요한데요. 제 경험상으로.. 우리 아이도 한 3주 설득했던거 같아요.. 3~4일에 ..

잡쓸식 2023.02.27

소아 강박증(증상과 요인)

강박증, 즉 강박증상은 21세 전후에 가장 문제가 될 정도로 나타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남자가 약 19.5세, 여자가 22세정도 이고 65%의 환자가 25세 이전에 발병하고 아주 일찍은 2세인 경우도 있습니다. 35세 이후는 15%미만이지만 최근 코로나 등의 영향(청결, 외부 노출 등)으로 소아 청소년에게서도 자주 나타나고 있습니다. [주요증상] - 강박사고 주로 위험한 일이 생길 것 같은 느낌, 무섭고, 불쾌하고, 비위가 상하는 것 같은 생각을 말합니다. 그러나 초기 소아 청소년기 아이들은 무섭고, 불쾌한 생각이 어떤 생각인지 구체적으로 말하기를 어려워 합니다. 보통은 사랑하는 가족이 죽거나, 내 몸에 병균이 옮겨 감염될 거 같은 생각, 의미없는 단어, 소리 등이 머릿속에 반복적으로 떠오느는 경우가 ..

잡쓸식 2023.02.27
반응형